재테크/용어
주식, 선물이란?
lemonade
2021. 4. 26. 10:00
반응형
선물거래란?
선물거래를 이해할 때에는 그 원시개념인 선도거래를 이해하면 도움이 된다.
선도거래란 흔히들 농산물 거래로 예시를 든다.
농산물 유통업자와 농부가 수확하는 날 미리 정한 가격으로 농산물을 파는 거래를 맺었을 때
이를 선도거래라고 한다.
선도거래에서는 당장의 현물이 아닌
미래의 '특정한 날짜', '특정한 가격', '특정한 수량' 을 거래하겠다는 계약이 체결된다.
농부는 농산물 가격이 폭락할 때를 대비할 수 있고
유통업자는 가격이 폭등할 때를 대비하여 서로 어느정도 만족하는 거래를 할 수 있다.
이러한 선도거래가 표준화된 것이 선물거래이다.
선물거래는 거래소를 통해 표준화된 상품과 절차에 따라 거래하게된 방식이다.
주식을 선물거래한다면 주가지수, 금리, 통화, 주식 등 다양한 자산에 대해 선물거래가 가능하다.
선물 계약에 대한 보증금의 성격으로 거래대금의 10% 정도의 증거금이 필요하다.
거래소에서는 장이 끝난뒤에 종가를 기준으로 증거금을 계산하여
증거금이 부족하게 된 경우 추가 증거금을 요구한다.
물론 증거금이 남는 경우 남는 증거금에 대해서는 반환이 가능하다.
만기일이 존재하며 만기일에는 선물거래가 청산된다.
주식 거래에서는 해당 주식의 가격이 올라야 내가 돈을 벌 수 있지만
주식 선물거래에서는 상승, 하락 둘 중 내가 선택한 것이 이루어진다면 돈을 벌 수 있다는 차이가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