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LRT란?
LRT란 Liquid Restake Token으로 유동적 재스테이킹 토큰이다.
Restake란 용어답게 이미 스테이킹된 토큰을 다시 스테이킹하는 것이 LRT이다.
사용자는 LST를 스테이킹하여 LRT를 얻을 수 있다.
LST는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해 사용되는 토큰이지만
LRT는 Dapp들이 보안을 강화하는 데 사용하는 토큰이다.
이더리움 네트워크에 배포된 Dapp들은 이더리움의 보안을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보안에 사용하는 비용을 서비스 구축에 집중할 수 있다.
하지만 브리지에 의존하는 크로스체인과 관련된 서비스나
오라클의 가격피드에 의존하는 등의 서비스들은
이더리움 네트워크에 배포할 수 없는 미들웨어 모듈을 포함해야 하는 경우 많은데
이 경우 이더리움의 보안을 활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나온 것이 LRT이다.
이더리움에 스테이킹 된 LST를 다시 스테이킹하는 것을 통해
이더리움의 보안을 공유할 수 있게 만든 것이 LRT이다.
반응형
그리드형
'암호화폐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n-custodial wallet이란? (0) | 2024.03.12 |
---|---|
ERC-404란? (0) | 2024.03.08 |
RWA란? (0) | 2024.02.07 |
CME GAP이란? (0) | 2024.02.02 |
anon/chad/goat 뜻 (0) | 2023.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