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암호화폐/용어 36

VC (venture capital) 이란?

VC (venture capital) 이란? vc는 발전 가능성이 큰 벤처기업에 자금을 대고 경영, 기술 등 여러가지를 지원하여 후에 그 기업이 성공하면 투자금 회수를 통해 높은 수익을 올리는 금융자본이다. 벤처기업 입장에서는 vc에게 투자를 받는다면 당장 자본이 들어올뿐만 아니라 기업의 브랜드 인지도 및 추가적인 투자유치가 용이해 진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업 시 필요한 경영, 기술 등의 지원을 받을 수 있다. 다만 vc에게 주기적으로 보고를 해야한다는 점, 생각 외로 경영에 대한 간섭이 많이 생길 수도 있다는 점, vc가 자금을 회수하는 방법에 따라 어쩔 수 없는 상황이 생길 수도 있다는 점 등은 단점이다.

암호화폐/용어 2022.01.12

슬리피지 (Slippage) 란

슬리피지 (Slippage) 란 슬리피지란 주문자가 매수/매도를 할 때 원하는 가격과 실제로 체결된 가격의 차이이다. 아주 이상적인 상황에서는 주문자가 원하는 가격에 매수/매도가 가능하겠지만 대부분의 경우 매도호가, 매수호가와는 차이가 발생하기 마련이다. 이 차이를 슬리피지라고 한다. 보통 슬리피지가 발생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거래량 부족 2. 지나치게 많은 주문량 3. 높은 가격 변동성 4. 주문 처리 지연 주문마다 0.1%의 슬리피지만 발생한다고 해도 단기투자로 여러번의 주문을 하면 엄청난 양이 되기 때문에 무시해서는 안된다. 슬리피지가 많이 나오는 것을 피하려면 지정가 매매를 사용하거나 주문을 분할해서 하는 방식으로 피할 수 있다.

암호화폐/용어 2022.01.06

DAO 란?

DAO 란? DAO란 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의 줄임말로 탈중앙된 자율적인 조직을 말한다. 이더리움의 창시자인 비탈릭 부테린이 블록체인의 탈중앙화와 뜻이 통하는 조직으로 2016년 DAO 조직을 출범시켰다. DAO가 돌아가기 위해선 규칙이 필요하다. 이 규칙은 스마트 컨트랙트로 구현이 되는데 이는 블록체인 위에 존재하게 된다. 규칙이 정해진 후 DAO는 DAO를 운영할 자금이 필요하다. 보통 이는 DAO의 토큰으로 조달이 진행되는데 이 토큰은 DAO 조직 내의 활동에 대한 보상으로도 사용이 되며 이 토큰에 투자한 사용자는 DAO 투표권을 갖게 되어 운영 방식에 영향을 끼칠 수 있게 된다. 이 후 DAO는 완전 자율화가 된다. DAO 규칙의 경우 오픈소스이므로 누..

암호화폐/용어 2022.01.05

이더리움 계정 설명

이더리움 계정 설명 이더리움 계정에는 EOA, CA 두가지 종류가 있다. 이 계정을 통해 사용자는 트랜잭션을 전송할 수 있다. 1. EOA (Eternally Owned Address) EOA는 외부 소유 계정으로 주소(address)와 개인키(public address)로 구성되어 있다. EOA는 이더를 송수신 가능하며 트랜잭션을 보낼 수 있다. 2. CA (Contract Address) CA는 컨트랙트 계정으로 외부 소유 계정과는 다르게 개인키가 없다. CA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블록체인에 배포할 때 생성된다. CA는 스마트 컨트랙트 코드를 담고있으며 EOA와 마찬가지로 이더를 송수신 가능하며 다른 컨트랙트나 EOA의 호출을 통해 트랜잭션을 발생시킬 수 있다.

암호화폐/용어 2021.12.27

암호화폐 용어 - dyor 이란?

DYOR 이란? 암호화폐 시장에서 DYOR이란 Do Your Own Research의 줄임말로써 투자자가 투자하려는 상품에 대해 자신이 직접 공부하고 분석해야 한다는 뜻이다. 다른 분석가나 투자자가 얘기하는 것에만 의존해서는 안된다는 의미로 쓰인다. 성공적인 투자를 위해서는 본인이 직접 분석을 통해 이를 바탕으로 전략을 세워 투자해야 한다. 이 때 다른 투자자들의 의견이나 전략을 보고 insight를 얻을 수는 있겠지만 결국은 본인 돈이므로 DYOR 하자!

암호화폐/용어 2021.11.10
반응형